수능특강
이상화 「빼앗긴 들에도 바람은 오는가」 이수익 「결빙의 아버지」 6월평가원 (이어령 「시적 상상력으로 채집한 언어의 표본실」) · 김기림 「바다와 나비」 · 이시영 「마음의 고향6-초설」 · 조지훈 「승무」 고재종 「수선화, 그 환한자리」 이육사 「절정」 천양희 「마음의 수수밭」 박두진 「해」 정현종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 박재삼 「한(恨)」 한용운 「님의 침묵」 김광섭 「성북동 비둘기」 정끝별 「가지가 담을 넘을 때」 김수영 「풀」 구 상 「초토의 시1」 신석정 「대바람 소리」 이준관 「가을 떡갈나무 숲」 윤동주 「참회록」 김광규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백 석 「선우사(膳友辭)-함주시초(咸州詩抄)4」 이성부 「벼」 정지용 「향수(鄕愁)」 조태일 「국토서시」 김춘수 「강우(降雨)」 박남준 「흰 부추꽃으로」 문태준 「평상이 있는 적막한 국숫집」 박목월 「적막한 식욕」 김용택 「들국」 박용철 「떠나가는 배」 정일근 「둥근, 어머니의 두레밥상」 김현승 「아버지의 마음」 이성복 「꽃피는 시절」 나희덕 「푸른 밤」 이문재 「광화문, 겨울, 불꽃, 나무」 이용악 「풀벌레 소리 가득 차 있었다」 문정희 「곡비」 신동엽 「산에 언덕에」 송수권 「여승」 | 유리왕 「황조가(黃鳥歌)」 작자미상 「동동(動動)」 월명사 지음/양주동 해독 「제망매가(祭亡妹歌)」 · (향가의 해독과 작품해석) · 정 서 「정과정(鄭瓜亭)」 · · 「정과정」이해 · · -이 익 「과정곡」 · · 황진이 「동지ㅅᄃᆞᆯ 기나긴 밤을 ~」 작자미상 「창 내고쟈 창을 내고쟈 ~」 작자미상 「 들에 동난지이 사오 ~」 월산대군 「추강에 밤이 드니 ~」 신 흠 「냇ᄀᆞ에 오라바 ~」 김상헌 「가노라 삼각산아」 원천석 「눈 마자 휘어진 대를 ~」 이신의 「사우가(四友歌)」 작자미상 「두터비 ᄑᆞ리를 물고 ~」 주세붕 「오륜가」 6월 평가원 정 철 「훈민가」 윤선도 「만흥(漫興)」 (김천택과 김수장) 김천택 「서검을 못 일우고 ~」 김수장 「안빈을 염치 말아 ~」 김수장 「서방님 병들여 두고」 박인로 「누항사(陋巷詞)」 정극인 「상춘곡(賞春曲)」 신 흠 「봄이 왓다 ᄒᆞ되 ~」 정 철 「사미인곡(思美人曲)」 이광명 「북찬가(北竄歌)」 -굴 원 「이소(離騷)」 -백거이 「비파행(琵琶行)」 임 제 「무어별(無語別)」 서경덕 「ᄆᆞ음이 어린 휘니 ~」 작자미상 「개를 여라믄이나 기르되 ~」 -작자미상「설원이 만창한데 ~」 작자미상 「소춘향가」 9월 평가원 작자미상 「잠노래」 작자미상 「베틀노래」 이 황 「만보(晩步)」 작자미상 「황계사(黃鷄詞)」 매 화 「매화 녯 등걸에 ~」 이정보 「국화야 너는 어니 ~」 유방선 「늙은 잣나무」 신경준 「어상」 작자미상 「춘면곡(春眠曲)」
|
이광수 「무정」 이태준 「달밤」 박태원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주요섭 「사랑방손님과 어머니」 -주요섭 원작/임희재 각색「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이미록 「압록강은 흐른다」 황순원 「카인의 후예」 안수길 「제3인간형」 김승옥 「서울 1964년 겨울」 이호철 「큰 산」 6월 평가원 전상국 「우상의 눈물」 이문구 「관촌수필」 임철우 「눈이 오면」 9월 평가원 이창동 「소지」 김채원 「겨울의 환」 이순원 「19세」 김언수 「캐비닛」 박성원 「댈러웨이의 창」 최 윤 「회색 눈사람」 | 작자미상 「지하국 대적 퇴치」 작자미상 「김천」 이규보 「국선생전」 김시습 「만복사저포기」 이 옥 「유광억전」 작자미상 「곽해룡전」 작자미상 「조웅전」 작자미상 「용문전」 -작자미상「용문전」(경판본) 작자미상 「낙성비룡」 작자미상 「금방울전」 김만중 「사씨남정기」 작자미상 「화산중봉기」 작자미상 「어룡전」 작자미상 「흥보가」 신광한 「황새결송」 작자미상 「심청전」 작자미상 「하생기우전」 작자미상 「적성의전」 6월평가원 |
(극) 작자미상 「고성 오광대」 (극) 작자미상 「꼭두각시놀음」 (희곡) 최인훈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희곡) 차범석 「불모지」 9월평가원 (시나리오) 선우휘 원작/이은성·윤삼육 각색 「불꽃」 (시나리오) 최석환 「라디오스타」 (희곡) 오영진 「허생전」 (희곡) 이윤택 「오구-죽음의 형식」 | (고전수필) 박지원 「일야구도하기」 (현대수필) 신영복 「철산리의 강과 바다」 (현대수필) 김동리 「만월(滿月)」 (현대수필) 이병기 「풍란(風蘭)」 (고전수필) 이곡 「차마설」 6월평가원 |
수능완성
유안진 「춘천은 가을도 봄이지」 황동규 「조그만 사랑 노래」 이상 「거울」 권혁웅 「파문」 백석 「여우난 곬족」 황지우 「거룩한 식사」 (풍자의 특성과 기능) · 김광규 「묘비명」 최승호 「북어」 정호승 「슬픔이 기쁨에게」 김현승 「플라타너스」 9월 평가원 이형기 「폭포」 | (백이와 숙제의 고사와 우리 문학) · 성삼문 「수양산 ᄇᆞ라보며 ~」 · 주의식 「주려 주그려 ᄒᆞ고」 · 허난설현 「규원가」 길재 「오백 년 도읍지를 ~」 조식 「두류산 양단수를 ~」 작자미상 「논밭 갈아 기음매고」 (향가와 고려 속요의 구뷔 문학적 특성) · 충담사 「찬기파랑가」 · 작자미상 「서경별곡」 · 정철 「속미인곡」
|
오상원 「모반」 이호철 「탈향」 이태준 「패강랭」 이문구 「우리 동네 황 씨」 이남희 「허생의 처」 성석제 「조동관 약전」 박민규 「그렇습니까? 기린입니다」 | 이옥 「심생전」 작자미상 「양풍운전」 작자미상 「열녀춘향수절가」 9월 평가원 작자미상 「최고운전」 박지원 「허생전」 작자미상 「옹고집전」 작자미상 「운영전」 |
(시나리오) 장진 「소나기는 그쳤나요?」 (희곡) 천승세 「만선」 (드라마 대본) 박민규 원작, 고은선 극본 「카스테라」 | (현대수필) 김소운 「특급품」 (고전수필) 허균 「통곡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