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고전시가

(고전시가/2017수능특강) 잠 노래

by 냠뇸냠 2017. 11. 25.





잠노래 (작자 미상)


 

 

잠아 잠아 짙은 잠아   이내 눈에 쌓인 잠아

염치 불구 이내 잠아   검치 두덕 이내 잠아

어제 간밤 오던 잠이   오늘 아침 다시 오네

잠아 잠아 무삼 잠고   가라 가라 멀리 가라

시상 사람 무수한데    구테 너난 간데 없어

원치 않는 이내 눈에   이렇다시 자심하뇨

주야에 한가하여        월명 동창 혼자 앉아

삼사경 깊은 밤은       허도이 보내면서

잠 못 들어 한하는데   그런 사람 있건마는

무상불청 원망 소래    온 때마다 듣난고니

석반을 거두치고        황혼이 대듯 마듯

낮에 못한 남은 일을   밤에 할랴 마음먹고

언하당 황혼이라        섬섬옥수 바삐 들어

등잔 앞에 고개 숙여   실 한 바람 불어 내어

더문더문 질긋 바늘    두엇 뜸 뜨듯 마듯

난데없는 이내 잠이    소리 없이 달려드네

눈썹 속에 숨었는가    눈알로 솟아온가

이 눈 저 눈 왕래하며  무삼 요수 피우든고

맑고 맑은 이내 눈이   절로 절로 희미하다

 

 

 

 

검치 두덕: 잠에 대한 욕심이 언덕처럼 쌓였다

 

무삼 잠고: 무슨 잠이냐

세상 사람 많은데 구태어 너는 간데 없이

자심하뇨: 점점 심해지느냐

월명 동창: 달이 환하게 비치는 동쪽의 창

삼사경: 11~새벽3

 

덧없이 청하지 않은 원망 소리 올 때마다 듣는 것이냐?

저녁밥을 거두치고 황혼이 되자마자

 

언하당:그런 생각을 하자마자 바로

실 한 바람 불어 내어: 한 발 정도 길이의 실을 풀어서

드문드문 질긋 바늘 두어 땀 뜨는 듯 마는 듯

 

눈알로: 눈 아래로부터

요수: 요상한 술수

 

-부요(婦謠)이자 노동요

-4음보 율격

-잠을 의인화(=청자, 부르는 형식)

-익살.해학적 표현(내가 잠이 많은 것X, 잠이 욕심이 많은 것)

-원망조, 넋두리

-바느질 하다가 꾸벅꾸벅 조는 모습 해학적으로 그려냄

▷힘들고 고통스러운 현실 웃음으로 극복. 해학으로 승화

▷우리 민족의 낙천적 삶의 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