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고전시가

(고전시가/2017수능특강) 베틀 노래

by 냠뇸냠 2017. 11. 25.


 

베틀 노래(작자 미상)

 



기심 매러 ⓐ갈 적에는 갈뽕을 따 가지고

기심 매고 ⓐ올 적에는 올뽕을 따 가지고

삼간방에 누어 놓고 청실홍실 뽑아내서

ⓑ강릉 가서 날아다가* 서울 가서 매어다가

하늘에다 베틀 놓고 구름 속에 이매* 걸어

함경나무 바디집*에 오리나무 북*에다가

짜궁짜궁 짜아내어 가지잎과 뭅거워라

배꽃같이 바래워서 참외같이 올 짓고

ⓒ외씨같이 보선 지어 오빠넘께 드리고

겹옷 짓고 솜옷 지어 우리 부모 드리겠네





기심:

 

세칸 방에 누에 놓고

 

 

 

 

바래워서: 하얗게 만들어 올: 실이나 줄의 가닥

오이씨같이

 

-부요(婦謠)이자 노동요

-고달픔.지루함 덜기 위한 독백의 형식

-4.4 4음보 운율

-언어유희, 대구법, 반복법

-뽕잎따서 실 뽑고 옷만들기까지의 과정 시간순서대로 노래

=추보식 구성 *추보(推步): 발걸음을 따르다

=시간.공간의 흐름따라 =순행적 구성 (cf. 서사식구성은 시간의 흐름이 중심)

-색채 이미지: 청실홍실

-의성어(음성상징어): 짜궁짜궁(베짜는 소리)

 

*날아다가: (베나 돗자리 등을 짜려고) 틀에 날을 간격이 고르게 벌여 쳐서.

*이매: 잉아. 베틀의 세로로 늘어뜨려진 실을 끌어 올리도록 맨 굵은 줄.

*바디집: 베틀. 가마니틀 따위에 딸린 기구의 하나.

*: 베특에서 날실의 틈으로 왔다 갔다 하면서 씨실을 푸는 기구.